1) 정책 / 경제 동향 뉴스
◇ 수도권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매매가에 90%에 달하는 전세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을 정도다. 아직 부동산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므로 내집마련을 고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금리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임대인들은 월세를 선호하고 임차인은 전세를 고집하므로 수급불균형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개발연구원도 전셋값이 더욱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인 보고서도 나왔다.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1일 '2014년 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보고서를 통해 전국 아파트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사상 최고치인 70%로 올라선 데 이어 향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 압력도 거세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올 1분기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수도권의 올해 1분기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000년 이후 분기 평균(3만7607가구)을 크게 밑도는 1만9549가구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향후 전세가격 상승 요인이 더 크다는 게 KDI의 지적이다.
서울의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서울시가 도시를 개발할 때 공공에 도움이 되도록 기부체납 제도를 검토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11일 "임대주택이나 공동체 시설을 기부체납할 경우 용적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개발시 지역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기부체납으로 임대주택을 늘려 부작용을 줄이겠다는 취지도 담고있다.
현재 서울시는 아파트 재개발 등 개발사업에서 내놓은 자투리땅이나 접근성 없는 공원 등은 기부체납으로 인정해주지 않고 있다. 앞으로 ..
▲ 주택시장 회복 기대감 꺾여…2월 주택사업환경지수 하락
주택시장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한풀 꺾였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4일까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소속 500여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2월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HBSI)가 122.2로 전월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1월의 경우 122.8을 기록하며 전달보다 17.6포인트 상승했는데, 이런 상승 흐름이 한풀 꺾인 것이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주택경기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다. 기준선인 100을 넘어서면 주택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업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시장 / 업계 동향뉴스
◇ 과거 대형건설사들의 브랜드파워에 밀려 힘을 못쓰던 중견건설사들이 최근 들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중견건설사들의 주택공급량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중견건설사들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가격경쟁력을 갖춘데다가 기술력이 대형건설사들과 평준화되어 가면서다.
부동산시장은 앞으로도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지난 1월 주택거개량은 10년만에 최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부동산규제가 완화되면서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그동안 내집마련을 미뤄왔던 대기수요들이 적극 나서면서 거래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여진다.
▲ 중견건설사 주택공급 지난해보다 72% 증가…15만3696가구 공급
올해 중견 건설사들의 주택 공급 물량이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11일 중견 건설업체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가 전국의 336개 회원업체를 대상으로 2015년 주택공급계획을 파악한 결과 전국에서 공급할 주택은 모두 15만3696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공급규모는 지난해 공급계획물량인 8만9493가구에 비해 72% 증가했다. 2010년 이후 가장 많다.
지역별로는 서울 4310가구, 인천 1만685가구, 경기 6만3816가구 등 수도권지역이 7만8811가구로 전체공급물량의 51%에 이른다.
서울·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에서는 부산 9748가구, 대구 6117가구, 광주 2582가구, 대전 5834가구, 울산 3925가구, 세종 2176가구 등 전체의 20%인 3만382가구를 공급한다.
내달은 이달보다 입주물량이 큰폭으로 줄어든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3월에는 2월(2만2371가구)보다 38.9%가 줄어든 1만3675가구가 입주대기중이다.
지역별로는 2월 대비 수도권이 73%(6,033가구) 감소한 2235가구가 입주하고, 지방은 18.9%(2663가구) 감소한 1만1440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봄 이사철과 재건축 이주수요가 맞물리는 시점에 새 아파트 공급물량도 줄면서 전셋집을 구하는 수요자들의 발걸음은 더욱 바빠질 전망이다.
더욱이 전년동월 입주물량과 비교해도 2015년 3월은 입주물량이 적다. 수도권에서는 2014년 3월 대비 4,387가구(66.2%) 입주물량이 급감하며
지난달 주택거래량이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주택매매거래량이 7만9320건으로 주택경기가 한창이던 2007년 7만8794건을 상회해 주택거래량 집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10년 만에 1월 거래량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9.1대책 이후 주택시장 활력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전세수요의 매매전환도 꾸준히 이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34.1%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1월은 설 연휴가 포함돼 있어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지역별 거래량은 수도권의 경우 32.5%, 지방은 35.3% 증가했다. 서울은 1만1005건으로 32.3% 증가했으며 강남 3구(1741건)에서도 7.7% 늘었다.
주택유형별로도 거래량이 모두 증가했다. 아파트가 5만7418건으로 36.8% 늘었고 연립·다세대는 29.3% 늘어난 1만2157가구로 집계됐다. 단독·다가구는 9745건이 거래돼 37.9% 증가했다.
3) 수도권 관련 시장 / 개발동향
◇ 올해 강남4구의 전세난이 더욱 가중화될 전망이다. 올해 강남 4구에서 재건축이 진행되며 이주를 앞두고 있는 가구수가 1만3000여가구에 달한다. 전세난에 따라 강남4구 전세수요가 타지역으로 이동이 불가피하므로 주변지역도 전세수요가 더욱 증가해 향후, 서울 전세난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 올해 강남4구 재건축 이주 1만3천가구…전세난민 확대 불가피
올해와 내년 서울 강남4구(강남·송파·서초·강동구)에서 발생할 재건축 이주 수요가 2만 가구가 넘어 세입자들의 탈(脫) 강남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서울시와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강남4구의 재건축 이주 수요 물량은 올해 1만 2732가구, 내년 8874가구에 달한다. 이는 올해 이 지역 입주 물량(1만 1000가구)보다 많은 규모다.
한국감정원 박기석 부동산연구개발실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한주택보증 서울사옥에서 열린 ‘뉴스테이 지원센터 개소기념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1980년대 강남 개발에 따라 한꺼번에 입주한 강남권 아파트 단지들이 올해 재건축 사업으로 대거 이주한다”며 “강남 일대 일부 거주자들의 수도권 외곽으로의 이주가 불가피할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가 11일 열린 본회의에 논란이 되고 있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고정요율화 조례안'을 상정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경기도에서 부동산 중개보수(옛 중개수수료)가 사실상 인상되는 사태는 피하게 됐다.
그러나 봄 이사철을 앞두고 한창 소비자의 관심이 큰 부동산 중개수수료 개편 작업은 적어도 한 달 이상 늦춰지게 됐다.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은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및 새누리당 대표와 협의해 본회의에 고정요율화 조례안을 본회의에 올리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조례 개정안은..
최근 경북 경산시와 대구시가 아파트 청약 우선공급 대상을 '3개월 이상 지역에 거주한 사람'으로 제한하고 나섰다. 종전 '현재 거주자'에서 청약자격을 강화, '묻지마 청약'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신규 분양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다른 지역민들의 원정 투자를 막고 지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다.
부동산 호황기였던 2000년대 초·중반 도입된 '청약자 거주지 제한제도'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부활할지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