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세가 이어지던 서울 지역 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다.
25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매주 0.10%의 상승세를 유지하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이번 주 들어 0.07% 오르는데 그치며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이는 전세 이사 수요가 더 이상 늘지 않으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매도자의 기대심리와 매수자의 관망세로 양측의 거래 희망가격 차이가 커지고 있어 당분간 제한적 상승을 반복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광진구가 0.33%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서(0.24%)·동대문(0.20%)·관악(0.18%)·양천(0.16%)·강동(0.13%)·구로(0.12%)·동작구(0.12%) 등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신도시는 1기 신도시가 지난주와 같은 0.03% 상승했으나 줄곧 약세를 보이던 2기 신도시의 상승폭이 0.10%로 커지면서 신도시 전체적으로 지난주의 2배 수준인 0.06%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지난주와 같은 0.05%가 상승했다. 안산(0.11%)·하남(0.10%)·고양(0.09%)·수원시(0.09%) 등이 강세다.
전세는 서울이 지난주 0.24%에서 이번주 0.17%로, 경기·인천이 0.10%에서 0.09%로 각각 둔화됐다.
서울의 경우 광진(0.50%)·구로(0.47%)·동대문(0.37%)·강동(0.37%)·강북구(0.37%) 등이 오름세다. 경기는 안산(0.11%)·하남(0.10%)·고양(0.09%)·수원(0.09%)·광명(0.08%)·남양주시(0.08%) 등이 올랐다.
<저작권자 © 리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